페이지

글타래

2010년 6월 2일 수요일

천안함, ‘결정적 증거’가 ‘결정적 반증’

[시사서울] 2010년 06월 02일(수) 오전 00:51



공유하기

FacebookTwitter가 가
이메일
프린트 [시사서울=김경탁 기자] 정부가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공격에 의한 것이라 밝힌 결정적 증거(smoking gun)는 어뢰 추진체이며, 특히 이 어뢰 추진체의 프로펠러 앞단에 적힌 파란색 잉크의 ‘1번’ 표시는 한글을 쓰는 북한의 소행을 결정하는 핵심적 증거로 인용되었다.



정부가 공개한 ‘결정적 증거’인 어뢰 추진체가 ‘결정적 반증(반박 증거)’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 최문순 의원은 5월 31일 “어뢰 추진체 후부의 ‘1번 글씨’가 250kg의 폭약량에서 타버리지 않고 남아있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물리학적 근거를 소개한 데 이어 1일 “천안함 선체와 어뢰추진부, 그리고 수중폭발시험에서 나온 흡착물을 분석한 결과 천안함 선체와 어뢰추진부의 흡착물질은 폭발을 거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최문순 의원은 합동조사단이 발표한 흡착물질 분석 발표 자료를 버지니아대 물리학과 교수에 의뢰해서 분석했다.



합동조사단은 결정적 증거물이 천안함을 공격한 바로 그 어뢰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①선체(함수, 함미, 연돌)와 ②결정적 증거물(어뢰 추진부) ③수중폭발시험에서 나온 흡착물을 분석했고, 이를 위해 2가지 분석(에너지 분광기 분석, X선 회절기 분석)방법을 활용했다.



그 결과, 우선, 에너지 분광기 조사결과는 세 곳(①함수, 함미, 연돌 ②결정적 증거물 ③수중폭발시험)의 흡착물질에서 거의 비슷한 원소가 나와 이것이 유사한 흡착물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 에너지 분광기 분석 결과





X선 회절기 분석 결과에서도 ①번과 ②번의 경우 알루미늄 산화물이 함께 검출되지 않은 점과 알루미늄 폭발 과정에서 용해와 급냉각으로 비결정질의 알루미늄 산화물이 생긴 것으로, 오히려 이것이 어뢰 폭발의 결정적 증거가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 X선 회절기 분석결과





그러나 이에 대해 최문순 의원으로부터 분석을 의뢰받은 버지니아대 물리학과 교수는 X선 회절기 분석결과에 대해 두 가지 모순이 있다고 밝혔다.



첫째, ①과 ②의 흡착물질에서 알루미늄 성분이 사라졌다.폭발물은 알루미늄 성분이 반드시 검출되어야하나, ①, ②번의 X-선 회절기 분석결과에서는 알루미늄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이에 반해 ③번(수중폭발시험)의 경우 알루미늄 결정체가 분석되었다.



둘째, X-선 회절기 분석결과에서는 ①, ②번과 ③번이 다르다.즉, ③번은 합조단이 실제 실시한 수중폭발시험으로 X-선 회절기 분석 결과상에 결정화된 알루미늄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데 반해 ① 선체(함수, 함미, 연돌)와 ② 결정적 증거물의 경우 알루미늄 산화물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최 의원은 “결국 △X-선 회절기 분석결과가 다르다는 것은 폭발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폭발 시 나타나야 하는 알루미늄 결정체가 분석결과에 없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